pISSN: 1738-325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4 (2023)
pp.441~448

DOI : 10.46669/kss.2023.21.4.038

이중과제 걷기 시 과제 난이도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의 시공간 보행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하성희

(연세대학교, 연구원 )

이인제

(경일대학교, 조교수)

본 연구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집단과 건강한 대조군의 이중과제 걷기 시 과제 난이도가 시공간 보행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AI를 가진 남성 9명과 건강한 남성 대조군 9명을 모집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는 선호 속도 걷기, 두 가지 이중과제 걷기를 수행하였다. 모든 걷기는 Optogait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시공간 보행 변인을 산출하였다. 과제 난이도별 인지비용은 걷기속력을 통해 산출하였으 며 Wilcoxon Rank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룹 간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U 검정과 과제 난이도에 따른 차이 비교를 위해 Friedman 검정을 수행하였다. 집단 간 인지비용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과제 난이도 간 인지비용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2). 100-7 이중과제 걷기 시 한다리지지기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p=.015), 과제 난이도에 따라서 모든 시공간 보행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 결과, 과제 난이도 가 증가할 때 두다리지지기를 증가시키고 걷기속력을 늦추면서 안정적으로 걷고자 하였으며 CAI 집단에서도 높은 과제 난이도를 수행할 때 한다리지지기를 감소시키며 안정적인 걷기를 위한 전략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전략은 에너지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관절 압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중재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Task Difficulty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Chronic Ankle Instability during Dual-task Walking

Ha, Sunghe

Lee, Inj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during dual-task walking. Ni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CAI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ll participants performed normal walking and 2 dual-tasks walking. All tasks were analyzed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were exported using Optogait. Cognitive costs were calculated using walking speed. The Wilcoxon Rank test, Mann-Whitney U test, and Friedman test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es. For cognitive cost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ask difficulties (p=.012). The CAI group showed decreased single limb suppor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uring 100-7 (p=.015). In addition, all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were significant between task difficulties (p<.05). Our findings revealed that all participants walked using safer gait strategies including increased double limb support and slower walking speed with task difficulties increased. Moreover, the CAI group decreased single limb support to walk more stably. Aforementioned walking strategies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e the peak compression to the talocrural joint. Therefore, intervention programs for those with CAI should be included to alleviate negative effects of slower walking observed in this study.

Download PDF list




 
[21319]인천광역시 부평구 영성중로 50 미래타워 701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 02) 416-2111    PHONE : 010-4702-2110    E-mail : ksso2003@hanmail.net
COPYRIGHT ⓒ KOREA SPORT SOCIETY. ALL RIGHTS RESERVED.